여성이 임신을 하면
신체에 많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저는 임신테스트기를 하기도 전에
후각이 예민해지는 경험을 했는데요,
이것은 시작에 불과할 정도로
임신 후에는 다양한 변화가 나타납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그중에 하나로
가슴에 극적인 변화가 있음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오늘은 유방에 있는
몽고메리결절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몽고메리결절
영어로는 Montgomery tubercles,
몽고메리샘, 유륜선이라고도 불리는 이 조직은
유방에 있는 유륜 주위에 흩어져있는
작은 돌기를 뜻합니다.
보통 유두 주위에 원으로 배열되어 있어
유두가 직립했을 때 잘 보입니다.
여기서 유륜(젖꽃판, areola)이란
유두(젖꼭지, papilla mammae) 주위의
둥글고 흑갈색을 띄는 부분을 말합니다.
각 유륜마다
평균 4개에서 28개까지
다양한 수의 몽고메리결절을 가지기 때문에
사람마다 몽고메리결절의
갯수는 모두 다르며
누구에게나 있는 신체 조직입니다.
몽고메리결절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1837년에 이것을 최초로 기술한
아일랜드 국적의 산부인과 의사
William Fetherstone Montgomery
(1797-1859)의 이름을 땄기 때문입니다.
Montgomery는 원래 이 땀샘을
'은하수 위에 흩어져 있는
작은 젖꼭지의 별자리'로 설명했다고 하는데요,
참 아름다운 설명이죠?
이 몽고메리결절은 특히
여성이 임신을 하면 확대되며
모유 수유를 하는 중에도
계속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몽고메리결절 기능
유두를 윤활하게 하는
유성 분비물을 만들어내는
피지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몽고메리결절에서 분비되는 오일과도 같은
이 물질로 인해 피부의 탄력 유지는 물론
산도 조절이 가능해지므로
인체에 유해한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모유 수유 여성의 피부를 보호하고
아기의 입과 젖꼭지 사이에
긴밀성을 높여주는 기능도 한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기가 모유를 잘 찾아 먹을 수 있도록
몽고메리결절에서는
일종의 페로몬을 생성해
아기들의 후각을 자극하여
식욕을 높이는 등
모유 수유가 잘 이루어지게 한답니다.
신생아기에는 시력 발달이
완전히 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이 몽고메리결절의 역할로 인해
아기는 모유를 잘 찾을 수 있죠.
또한 유륜을 탄력 있게 유지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몽고메리결절 관리
몽고메리결절의 순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목욕을 할 때
깨끗한 물만 씻어야 합니다.
즉,
유방 부위에 비누를 사용하는 것은
불필요한 행위라는 것입니다.
비누나 바디워시 등을 사용하면
몽고메리결절에서 분비되는
자연적인 오일 성분이 제거되는데
유두 부위가 건조해질 수 있고
산도 조절도 억제되므로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몽고메리결절을
지속적으로 자극하거나
손으로 짜는 등
심하게 마찰하면
융기가 점점 도드라지고
염증이 생길 수 있다고 하니
조심해야 합니다.
너무 꽉 끼는 속옷을
착용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일부의 경우
유륜선의 과도한 양의
기름 물질 분비로 인해
몽고메리결절이 막히는 경우
몽고메리 낭종으로 발전될 수도 있습니다.
몽고메리 낭종으로
통증과 발적 등의
염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니
심한 경우에는
항생제 처방을 받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몽고메리결절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몽고메리결절 자체는
심각한 질환이나 병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신체 기관이며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 관리하느냐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오늘도 제 블로그에
찾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유용한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립선암 - 간호사가 알려주는 질병 정보 (0) | 2022.09.09 |
---|---|
고환암 1분만에 자가검사하는 방법 (0) | 2022.09.07 |
코스트코 골프채 가성비 웨지세트의 모든 것 (0) | 2022.09.05 |
코스트코 현대카드 알찬 사용을 위한 꿀팁 (1) | 2022.09.04 |
메리츠화재 고객센터 더 빨리 연결되는 단축번호 (1) | 2022.09.02 |